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중학 국어 학습 포인트

     
     
    * 중학교 1학년 2학년 국어 학습 포인트 *
     

    1. 중학교 1학년 국어 공부 핵심 영역

     
    - 문학, 문법, 읽기, 쓰기, 듣기, 말하기 영역
    : 먼저, 아이가 자신이 하는 공부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    알고 가는 것과 모르고 하는 것은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. 어떤 공부를 하게 되는지 알고 새 학기를 시작해 보아요.
     
    1) 문학 : 재미있어야 합니다.
    - 비유와 상징을 배웁니다. 초등에서는 빗대어 표현하기를 배웠습니다.
    - 비유와 상징의 차이점을 공부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
    - "갈등"이 강조하여 나옵니다.
    - 문학과 성찰이 등장합니다. 세상과 나를 생각하며 배우는 과정입니다.
     
    2) 문법 : 1학년 전체에서 제일 어렵습니다.
    - 국어 단어의 모임 품사 9개를 배웁니다.
    : 명사, 대명사, 수사, 조사, 동사, 형용사, 부사, 관형사, 감탄사
    - 문법은 개념 학습입니다. 3학년 국어 문장 성분 학습에 도움이 됩니다.
     
    3) 읽기 : 평생 써먹는 공부입니다.
    - 독서
    : 글을 예측, 요약하며 읽습니다.
      제목만 보고, 단서를 보고 예측하고 요약하기를 배웁니다.
     
    4) 쓰기
    - 나의 경험을 담은 글쓰기를 합니다.
    - 글을 되돌아보는 작업을 합니다.
     
    5) 듣기 & 말하기
    - "배려하는 말하기"가 포인트입니다.
    : 친구와 이야기할 때, 다른 사람과 이야기할 때 어떻게 듣고 말하는 방법을 공부합니다.
     
     

    2. 중학교 2학년 국어 공부 핵심 영역

     
    1) 문학 : 내용이 재미있습니다.
    - "관점"을 배웁니다. 1인칭 주인공 시점, 관찰자 등을 배웁니다.
    - 단순 암기가 아닌 차이점을 공부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
    - 문학 공부는 지식도 중요하지만, 내용의 재미를 먼저 아는 것이 중요한 공부입니다.
      아이들의 생각을 다양하게 표현하는 영역입니다.
     
    2) 문법 : 정확하게 배워야 하는 영역입니다.
    - 정확한 발음에 대해 배웁니다.
    : 책을 읽다? 익다 => 발음상은 "익사"가 맞습니다.
    - 말과 글의 기본적인 체제와 법칙을 배우는 과정입니다.
    - 발음을 배움으로써 의사소통, 전달력 등이 아주 좋아집니다.
    -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공부 영역입니다. : 한글의 창제, 훈민정음의 정신을 배웁니다.
     
    3) 읽기 & 쓰기 : 함께 배우는 영역입니다.
    - 설명 방법이 등장합니다.
    : 정의의 방법, 대조의 방법
      기술적으로만 배우지 말고, 글쓰기로 표현해야 합니다.
    - "고쳐쓰기" 많이 배웁니다.
    : 글을 쓰고 수정하고 고쳐 쓰는 것을 경험하며 공부합니다. => 첨삭
    - 단어, 문장, 문단들을 바꾸며 고쳐쓰기를 연습합니다 => 인생에 의미 있는 공부라고 생각합니다.
     
    4) 듣기 & 말하기
    - 듣기와 말하기는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는 공부입니다.
    : 1, 2, 3학년 전체에 나오는 영역입니다.
     
     
     

    3. 인생 공부는 3과목이다.

     
    국어를 잘하면 인생을 잘 산다.
    수학을 잘하면 취직을 잘한다.
    영어를 잘하면 대학을 잘 간다.
    라고 말을 많이 들으며 자랐습니다. 어디서 들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.
     
    100% 맞는 말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, 어느 정도는 그런 것 같습니다.
    맞는 것 같으신가요?
     
     
    중등 국어 영역을 정리하다 보았습니다.
    정리하면서 느낀 점은 정말 국어를 잘 배우고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이 확 듭니다.
     
    저는 이렇게 열심히 이해하며 알아보며 공부한 기억이 없습니다.
    솔직히, 국어니깐 한글이니깐 모국어니깐 이해만 하면서 조금은 무시하며 제대로 공부한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.
     
    전 우리 애들에게 읽기을 많이 강조하여 이야기했습니다.
    그것만 할 것이 아니었습니다.
     
    국어는 문학, 문법, 읽기, 쓰기 듣기, 말하기 영역의 조합을 배우게 됩니다.
    품사만 잘 알아도 쓰기가 한결 나을 것 같기도 합니다.
     
     
    *중2부터는 본격적으로 지필고사를 칩니다.
    => 심적인 부담보다 공부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합니다.
     
     
    우리가 알아야 할 지식의 기초가 학교에서 배우는 것이라는 것을 아이가 꼭 알았으면 합니다.
    배우고 있는 지금의 지식이 사회생활까지 연결된다는 것을 지금 알지 못하는 우리 아이가 안타깝습니다.
     
    저는 너무 늦게 알았습니다. 그래서 참 불편합니다.
    제가 독서가 힘들었던 이유가 국어 공부를 너무 안 해서 그런가 봅니다.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자녀 신분증, 청소년증 발급 받으세요.

    우리나라의 성인은 주민등록증이라는 신분증이 있습니다.학생들에게는 학생증이 있긴 합니다.하지만 아이들이 사용할 일이 거의 없다 보니 어디에 뒀는지도 모르거나 잃어버린 경우가 많습니

    ssun-mom.tistory.com

     

    반응형